자바 개발 패턴 – 팩토리 패턴 – 0 – 팩토리 패턴의 개념과 종류

자바 개발 패턴 - 팩토리 패턴 - 0 - 팩토리 패턴의 개념과 종류
자바 개발 패턴 – 팩토리 패턴 – 0 – 팩토리 패턴의 개념과 종류

자바 개발 패턴 – 팩토리 패턴 – 0 – 팩토리 패턴의 개념과 종류

팩토리 패턴의 개념

자바 개발에서 팩토리 패턴은 객체를 생성하는 과정을 추상화하여 유연성과 확장성을 높이기 위한 디자인 패턴입니다. 팩토리 패턴을 사용하면 객체 생성 로직을 클라이언트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으며, 객체의 생성과 구체적인 타입에 대한 결정을 팩토리 클래스에 위임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객체의 구체적인 클래스에 대한 정보 없이도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품을 판매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운영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쇼핑몰에서는 여러 종류의 상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팩토리 패턴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클라이언트는 각각의 상품마다 객체를 직접 생성해야 합니다. 그러나 팩토리 패턴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는 상품의 타입에 대한 정보만을 전달하면 팩토리 클래스가 해당 상품 객체를 생성해줄 수 있습니다.

팩토리 패턴은 주로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집니다:

  1. 제품 인터페이스 (Product Interface): 제품 인터페이스는 생성될 모든 제품 클래스가 구현해야 하는 공통 인터페이스입니다. 이 인터페이스는 제품 객체의 추상화된 기능을 정의합니다.

  2. 제품 클래스 (Product Classes): 제품 클래스는 제품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구체적인 클래스입니다. 팩토리 패턴에서 생성될 실제 객체입니다.

  3. 팩토리 인터페이스 (Factory Interface): 팩토리 인터페이스는 제품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메서드를 선언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4. 팩토리 클래스 (Factory Class): 팩토리 클래스는 팩토리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며, 실제로 제품 객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클라이언트는 팩토리 클래스를 사용하여 제품 객체를 생성합니다.

팩토리 패턴의 종류

팩토리 패턴에는 크게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간단한 팩토리 패턴추상 팩토리 패턴입니다.

  1. 간단한 팩토리 패턴 (Simple Factory Pattern): 간단한 팩토리 패턴은 제품의 생성을 단일 클래스에 위임하는 방식입니다. 팩토리 클래스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은 요청에 따라 적절한 제품 객체를 생성하여 반환합니다. 이 패턴은 제품 클래스 간의 계층 구조가 없는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쇼핑몰에서 간단한 팩토리 패턴을 사용해 상품 객체를 생성한다고 가정해봅시다. 팩토리 클래스는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상품 타입에 따라 해당 상품 객체를 생성합니다. 예를 들어, “의류”, “전자제품”, “도서”와 같은 상품 타입에 따라 각각의 상품 객체를 생성하여 반환할 수 있습니다.

  2. 추상 팩토리 패턴 (Abstract Factory Pattern): 추상 팩토리 패턴은 관련성이 있는 객체들의 집합을 생성하기 위한 패턴입니다. 팩토리 클래스를 추상화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가 제품 객체를 생성하고, 이를 구현한 구체적인 팩토리 클래스가 실제 객체를 생성합니다. 추상 팩토리 패턴은 제품 클래스 간의 계층 구조가 있는 경우에 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쇼핑몰에서 추상 팩토리 패턴을 사용해 상품 객체를 생성한다고 가정해봅시다. 추상 팩토리 인터페이스는 “의류 팩토리”, “전자제품 팩토리”, “도서 팩토리”와 같은 팩토리 클래스들이 구현해야 하는 메서드를 정의합니다. 각 팩토리 클래스는 해당하는 상품 타입에 따라 상품 객체를 생성하여 반환합니다. 예를 들어, “의류 팩토리”는 의류 카테고리의 상품 객체를 생성하고, “전자제품 팩토리”는 전자제품 카테고리의 상품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팩토리 패턴은 객체 생성 로직을 캡슐화하여 클라이언트와 객체의 결합도를 낮추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클라이언트 코드를 수정하지 않고도 새로운 제품을 추가하거나 기존 제품을 변경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팩토리 패턴의 활용 예시

팩토리 패턴은 많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바에서 자주 사용되는 팩토리 패턴의 예시로는 JDBC (Java Database Connectivity)가 있습니다. JDBC는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결과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API입니다. 이 때, 드라이버마다 조금씩 다른 연결 방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팩토리 패턴을 사용하여 각각의 드라이버에 맞는 연결 객체를 생성합니다.

주의해야 할 점

팩토리 패턴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몇 가지 점이 있습니다.

  1. 클래스 책임의 분리: 팩토리 패턴을 사용하면 객체 생성을 별도의 클래스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객체의 역할과 책임을 분리하여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킵니다.

  2. 확장성과 유연성: 팩토리 패턴은 객체 생성 로직을 캡슐화하므로, 새로운 제품을 추가하거나 기존 제품을 변경할 때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합니다. 하지만, 새로운 제품이 추가될 때마다 팩토리 클래스를 수정해야 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3. 의존성 주입 (Dependency Injection): 팩토리 패턴을 구현할 때 의존성 주입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클라이언트에서 팩토리 객체를 직접 생성하는 대신, 팩토리 객체를 생성하여 의존성 주입을 통해 사용하는 것이 유연하고 테스트하기 쉬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4. 네이밍과 일관성: 팩토리 클래스와 제품 클래스의 네이밍은 명확하고 일관성 있어야 합니다. 팩토리 클래스 이름에는 “Factory”라는 접미사를 사용하고, 제품 클래스의 이름은 해당하는 제품을 나타내도록 명명해야 합니다. 이는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혼동을 방지합니다.

팩토리 패턴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많이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 중 하나입니다. 개발자들은 이 패턴을 이해하고 활용하여 코드의 유지 보수성과 확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적절한 상황에서 팩토리 패턴을 사용하면 코드의 가독성과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으며, 객체 생성 로직의 중복을 제거하여 코드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자바 개발자라면 팩토리 패턴을 꼭 익혀두시기를 권장합니다!

답글 남기기